본문 바로가기
Daily 정보읽기/경제읽기

[골드시리즈 특별판 #01] 2025년 4월, 금값 최고가 돌파! – 지금 금을 주목해야 할 이유

by 소산데일리 | Sosan Daily 2025. 4. 21.
반응형

2025년 4월, 국내 금값이 한돈 65만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금값 급등의 원인과 전문가 분석을 통해, 지금 금 투자를 고려해야 할 이유를 정리해드립니다.

 

[골드시리즈 특별판 #01] 2025년 4월, 금값 최고가 돌파! – 지금 금을 주목해야 할 이유

 

2025년 4월, 국내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습니다.  
한돈(3.75g) 기준 65만 원, 1g당 약 16만 2천 원이라는 숫자는 단순한 가격을 넘어, 전 세계 투자자들이 ‘금’에 다시 주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쟁, 인플레이션, 금리 변화, 달러 약세, 그리고 디지털 자산의 불안정성까지—  
지금 우리는 수많은 변수 속에서 '신뢰할 수 있는 자산'을 찾고 있습니다.

과연 지금이 금을 매수해야 할 타이밍일까요?  
왜 금값은 이렇게까지 오른 걸까요?  
그리고 금 투자는 지금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을까요?

이 글에서는  
✔ 2025년 현재 금값 급등의 배경,  
✔ 전문가 분석과 투자 전략,  
✔ 실물 금과 ETF의 선택 기준까지  
지금 금 투자에 대해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1. 2025년 4월, 금값 한돈 65만 원 돌파 – 사상 최고가

2025년 4월 현재, 국내 금 시세는 한돈 기준 65만 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1g당 약 16만 2천 원 수준으로,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상상하기 힘든 수치입니다. 국제 금 시세 역시 온스당 2,400달러를 넘어서며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높아졌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한편, 2020년부터 2024년까지의 금값 흐름을 돌아보면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2021~2022년을 지나, 2023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반등세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당시에는 금리 인상 기조로 인해 금값이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구조적 리스크 요인이 부각되며 금은 다시금 중심 무대로 돌아왔습니다.

2. 왜 지금 금값이 오르는가?

이번 금값 급등에는 몇 가지 주요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첫째,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되었습니다.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전통적 안전자산인 금으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입니다.

둘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동결 및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며 달러 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금의 상대적 가치가 높아지며, 이는 금값 상승의 직접적인 요인이 됩니다.

셋째,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진정되지 않고 있습니다.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대한 불신이 누적되며, 실물자산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는 중입니다. 여기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변동성과 규제 우려가 더해지며, 다시 전통적인 실물 금으로 회귀하는 흐름도 감지됩니다.

이처럼 금값 상승은 단기적인 투기 수요라기보다는, 구조적인 투자 트렌드 변화에서 비롯된 결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3. 조규원 작가의 시각: “2025~2027년은 금 매수의 기회”

국내 대표 금 투자 전문가 조규원 작가는 최근 인터뷰에서 “2025년부터 2027년까지는 금을 매수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단기 급등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금의 가치를 ‘재평가’할 시점이라고 판단합니다.

『골드플레이션』이라는 저서를 통해 그는 다음과 같은 통찰을 나눕니다. “금은 단지 가격의 문제가 아니라, 화폐 시스템이 불안정할 때 생존할 수 있는 ‘실물 신뢰 자산’이다.” 그는 현재의 금값 상승이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 그리고 화폐 가치 하락에 대한 대중의 우려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는 특히 초보 투자자들에게 다음 세 가지를 조언합니다.
① 단기 차익에만 집착하지 말 것.
② 적립식 매수 등 꾸준한 전략을 세울 것.
③ 실물 금과 ETF 각각의 특성을 이해한 뒤 선택할 것.

이러한 조언은 급변하는 시장에서 투자자들에게 냉정함과 방향성을 제공해주는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4. 지금 금을 사도 괜찮을까?

현재 금값이 고점이라는 인식 때문에 매수를 망설이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금이 포트폴리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금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 수단이자, 금융 위기 시 자산 방어의 최후 보루로서 기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년 후 금값이 조정되더라도, 장기 보유 시 평균단가를 낮출 수 있는 ‘분할 매수’ 전략을 활용하면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물 금과 금 ETF 사이의 선택도 중요한 고려 대상입니다. 실물 금은 위기 상황에서 실질적 자산으로써의 역할을 하며, 장기 보유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 반면 금 ETF는 소액으로도 유동성 있게 거래할 수 있어 유연한 자산운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00만 원의 예산이 있다면, 실물 금으로는 약 3돈(약 11.25g)의 순금을 구매할 수 있으며, 보관과 인출 수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ETF는 같은 금액으로도 다양한 타이밍에 분할 매수하거나 다른 자산과 함께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무리: 금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하여

금은 오랜 시간 동안 인류가 신뢰해온 자산입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투자에는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지금은 정보를 참고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세워보기에 좋은 시점일지 모릅니다.
각자의 판단이 가장 좋은 투자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반응형